@ [Telnet]
= 인터넷과 같은 TCP/IP네트워크를 위한 테미널 에뮬레이션 프로그램/
@ [Anti-Debugging]
=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배포 후에 경쟁사 등이 역동학을 통하여 소프트웨어 저작권을 침해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감안하여 이를 예방하는 차원에서 원천차단하는 기술.
@ [Differential Backup](차등백업)
= 컴퓨터 내의 모든 데이터를 일단 백업 한 뒤에 그 시점 이후로 변경되는 사항을 일정시간 후에 또 모두 백업하는 방식.
= 백업의 복구는 빠르지만, 백업 자체의 시간이 오래 걸린다(백업의 데이터 량이 커진다.)
@ [WPKI](Wireless Public Key Infrastructure)
= 무선 인터넷 상에서 주식 거래나 인터넷 뱅킹을 할 때 외부 침입으로부터 보호받거나 개인정보 누출을 예방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무선 공개키 기반구조.
@ [DLP](Data leaking Prevention)
= 데이터 유출 방지 솔루션. 정보 이동에 따른 로그또한 제공한다.
@ [NDN](Naming Data Network)
= P2P 시스템과 유사하게 인터넷 상에서 콘텐츠 자체의 정보와 라우터 기능만을 이용하여 목적지로 콘텐츠를 보내주는 미래형 네트워크기술
@ [Smoke Test]
= 본격적인 제품 테스트에 앞서서 시행하는 간단한 테스트를 말한다. 특히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기초 안전성 검사를 하는 수준의 간단한 테스트를 가리킨다.
@ [C/S Model]
= 소프트웨어 아키텍쳐의 일종. 서비스를 요구하는 '클라이언트와' 응답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 나뉜다.
= 네트워크 기반의 분산 소프트웨어에 주로 적용된다.
= 사례 :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웹 브라우저와 아파치 서버]
@ [관계형 DB의 3가지 이상상태]
ㄱ. [삽입이상] : [하나의 튜플을 삽입하려 할때, 관계되어있는 정보가 부족해 삽입시 문제가 된다.]
ㄴ. [삭제이상] : [하나의 튜플을 삭제하려 할때, 연계되어 있는 다른 자료또한 의도치 않게 삭제되는 이상.]
ㄷ. [갱신이상] : [하나의 튜플을 갱신시, 그 속성이 포함된 다른 튜플과의 관계성이 모호해져 올바른 정보갱신이 아니게 되는 이상.]
@ [시스템 카탈로그]
= 기본 테이블, 퓨, 인덱스, 데이터베이스 접근권한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
= 시스템 카탈로그에 저장되는 내용을 메타 데이터라고도 한다.
= 시스템 자신이 필요로 하는 스키마 및 여러가지 객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 [Force분석 5가지.]
ㄱ. [진입위험] ㄴ. [기존 경쟁사 간의 경쟁] ㄷ. [대체재의 위협] ㄹ. [구매자의 힘] ㅁ. [공급자의 힘]
@ [CSF](Critical Success Factor)
= MTI에서 개발했다. 성공에 불가피한 요인을 찾아내어 경영상 중요한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
= 개인, 부서 또는 조직에게 성공적인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경쟁력있는 업무 수행을 보장해 줄 수 있는 한정된 수의 영역 의미.
@ [SSID]()
= 컴퓨터 네트워킹에서 IEEE802.11 무선 지역망 고객 또는 기업과 관련된 모든 장비들로 구성된 세트를 식별하게 해주는 1내지 32바이트 문자열
@ [RAID]()
= 다중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들 사이에서 데이터를 나누고 중복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 데이터 저장장치 체계.
@ [QoS]()
= 전화통신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의 전체적인 성능, 특히 네트워크 사용자들에게 보이는 성능을 말한다.
@ [RIA]()
= 데스크탑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많은 특징을 가지고 있는 일종의 웹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사이트에 특화된 브라우저, 브라우저 플러그인, 독립적인 샌드박스, 자바스크립트의 남용, 가상기계와 같은 것들을 거쳐서 처리된다.
@ [SOHO]()
= 소규모 사무실, 재택 사무실의 약자로서 소규모이거나 집에서 꾸미는 사무실 환경과 기업문화를 이끈다.
@ [Authentication](인증)
= 특정 사용자가 자원을 접근하기 위하여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는 일련의 보안절차. -> 로그인 이름과 암호를 제시하여 적절한 접근권한을 얻는다.
@ [개인정보 비식별화 조처]
= 빅데이터 분석 과정에서 개인정보 노출 위협을 예방하기 위한 조처.
= 그체적인 방법으로는
"가명처리" : (개인정보 값을 식별 유추가 불가능한 다른 값으로 대체한다.
"총계처리" : 개인별 데이터는 보여주지 않고 총계만 보여준다.
"데이터 삭제" : 개인별 데이터는 삭제하고 나머지만 보여준다.
"범주화" : 개인별 데이터가 소속된 큰 범주를 보여준다.
"마스킹" : 개인별 데이터가 보이지 않고록 *표 등으로 가린다.
@ [G-pin]
= 정부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상의 개인 식별번호
= 유출 시 언제든 재발급 받을 수 있다.
@ [PMS]()
= 패치 관리 서비스
= 다양한 운영체제와 소프트웨어들이 최신버전으로 설치되어 있도록 자동으로 업그레이드를 진행해준다.
=보안성 향상, 유지보수 비용 감소
@ [IMS](IP Multimedia Subsystem)
= 인터넷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오디오, 비디오 데이터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규격.
= 서비스의 가격 경쟁력 향상과 신속한 서비스 개발 및 변경을 추구할 목적으로, 인터넷 기반기술과 표준화 된 네트워크 기능을 사용하고 있다.
'자격증 > 정보처리기사 - 실기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실기 최종정리 [3] - 단답형 (0) | 2018.04.09 |
---|---|
실기 용어 fullname 정리 (0) | 2018.04.07 |
정보처리기사 실기 최종정리 [1] - 단답형 (0) | 2018.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