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전송 이론]
1, 통신방식
- 통신방식은 데이터의 전송 방량에 따라 당방향 통신과 양방향 통신이 있음. 근데 양방향은 다시 반이중과 전이중으로 구분된다.
1. 단방향 : 라디오, 티비
2. 반이중 : 무전기, 모뎀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 2선식 선로를 사용해서 송신과 수신을 번갈아 한다.
3. 전이중 : 전화, 전용선 이용하는 데이터통신 -- 4선식 선로를 사용라고, 주파수 분할을 사용할 경우 2선식도 가능.
2. 비동기식 전송
- 한 분자를 나타내는 부호(문자코드) 앞위에 START CODE와 STOP CODE를 붙여서 바이트와 바이트를 구별하여 전송하는 방식.
- 한꺼번에 많은 데이터를 보내면 프레이밍 에러의 가능성이 높아짐
3. 동기식 전송 ***
- 미리 정해진 수만큼의 문자열을 한 블록(프레임)으로 만들어 일시에 전송하는 방식
- 송수신 양쪽의 동기를 유지하기 위해서 타이밍 클럭을 계속적으로 공급하거나 동기 문자를 전송.
- 시작비트와 종료비트 필요없음 - 클럭때매.
- 문자위주 동기방식 (SYN으로 동기)
- 비트위주 동기방식 (01111110)을 표시해서 동기화 -- HDLC와 SDLC프로토콜에서 사용
4. 다중화
- 하나의 고속통신회선을 다수의 단말기가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것. 다중화기를 통해 실현 가능.
- 다중화기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기와 시분할 다중화기가 있음.
5. 주파수 분할 다중화기
- 통신회선의 주파수를 여러개로 분할하여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함.
- 시분할에 비해 구조 간단하고 가격 저렴.
- 대역폭을 나누기 때문에, GUARD BAND 로 보호패딩을 한다.
6. 시분할 다중화기
- 통신회선의 대역폭을 일정한 시간폭으로 분할하여 여러대가 동시에 쓸 수 있게 하는것.
- 동기식과 비동기식이 있다.
7. 동기식 시분할
- SyncTMD.
-전공할 데이터가 없는 단말에도 시간을 부여.
8. 비동기식 시분할
- AsyncTMD
-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단말에만 시간 부여.
- 전송효율이 높다.
- 지능 다중화기, 확률 다중화기, 통계적 시분할 다중화기라고도 한다.
9. 신호속도
- 데이터 신호속도 (BPS) = 변조속도 (BAUD) X 변조시 상태변화수
- 변조속도 = 데이터 신호속도 / 변조시 상태변화수
[전송제어방식]
1. 전송제어는
- 데이터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입출력, 회선, 동기, 오류 흐름 등을 제어한다.
2. 전송제어 절차
- 데이터통신 접속 -> 데이터링크 설정, 확립 -> 정보 메시지 전송 -> 데이터링크 종결 -> 데이터 통신 회선의 절단.
3. 데이터링크 설정 절차
- 수신측 호출 -> 정확한 수신 측인가 확인 -> 수신측의 데이터 전송 준비 상태 확인 -> 송 수신측 입장의 확인 -> 수신측 입출력 기기 지정.
4. 데이터 링크 제어 프로토콜 (HDLC)
- HIGH LEVEL DATA LINK CONTROL
- 비트 위주의 프로토콜로 각 프레임에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고 오유를 검출할 수 있는 비트열을 삽입하여 전송.
- 포인트 투 포인트, 멀티포인트, 루프 등 다양한 데이터 링크 형태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
- 단방향, 반이중, 전이중 통신을 모두 지원하며, 동기식 전송방식(PAGE)를 사용한다.
- 오류제어를 위해 GO-BACK-N과 선택적 재전송 방식을 이용한다.
- 흐름제어를 위해 슬라이딩 윈도우 방식을 사용한다.
5. HDLC의 구조
- FLAG - ADDRESS - CONTROL - DATA - SCS - FLAG
6. 데이터 전송모드
- 표준 응답모드 (NRM-NORMAL) - 반이중 통신을 하는 점대점 불균형링크
- 비동기 응답모드 (ARM - ASYNC) - 전이중 통신을 하는 점대정 불균형 링크
- 비동기 평형모드( ABM - BALANCED) - 전이중 통신을 하는 점대점 균형링크.
[데이터 회선망]
@회선 교환방식
- 고정된 대역폭으로 데이터 전송
- 회선이 설정되어 통신이 완료될 때까지 회선을 물리적으로 접속
- 실시간 대화용에 적합.
1. 데이터 교환방식 - 축적 교환방식
- 툭적교환방식은 데이터를 송신측 교환기에 저장시켰다가 적절한 통신경로를 선택하여 수신측 터미널에 전송하는 방식.
- 메시지 교환방식과 패킷 교환방식이 있다.
2. 메시지 교환방식
- 교환기가 일단 송신 측의 메시지를 받아서 저장한 후 전송순서가 되면 수신측으로 전송한다.
- 전송 메시지는 교환기의 기억장치에 일정기간동안 저장되어 추후 검색이 가능하다.
- 전송지연시간이 매우 길며, 응답시간이 느려 대화형에는 부적절.
3. 패킷 교환방식
- 메시지를 일정한 길이의 패킷으로 잘라서 전송하는 방식.
- 패킷 교환망은 OSI 참조모델의 네트워크 계층에 해당한다.
- 패킷형 터미널을 위한 DTE와 DEC사이의 접속규정은 X.25 이다.
하나의 통신회선을 여러 사용자가 공유할 수 있어서 회선 이용률이 높다.
-대화형이 가능하다.(빨라서)
4. 패킷 교환 방식의 종류
- 가상회선 방식
: 단말기 상호간에 논리적인 가상회선을 미리 설정.
순차적으로 전송한다.
안정성과 신뢰성을 보장.
- 데이터그램 방식
: 노드들의 트래픽 상황을 감안하여 각각의 패킷들을 순서없이 독립적으로 운반.
수신측에서 순서를 재정리한다.
5. 경로제어
- 송수신간의 전송경로 중에서 최적패킷 교환경로를 설정하는 기능.
- 경로 설정요소 : 성능기준, 경로의결정 시간과 장소, 정보 발생지, 경로 정보의 갱신시간
6. 경로 설정 방식
- 고정경로제여 : 모든 쌍에 대해서 경로를 미리 정해놓는 방식
- 적응 경로제어 : 통신망 내에서 시시각각 볌하는 것에 따라 동적으로 결정하는 방식
- 범람 경로제어 : 네트워크 정보를 요구하지 않고, 모든 경로로 패킷을 전송하는 방식
- 임의 경로제어 : 임의로 선택하여 전송하는 방식
[통신 프로토콜]
1. OSI 참조모델
- 7레이어: 응용계층 - 표현계층 - 세션계층 - 전송계층 - 네트워크 계층 - 데이터 링크 계층 - 물리계층
- 물리!데이!네전세표응!
2, 물리계층 :
- 전송에 필요한 두 장치간의 실제 접속과 절단 등 기계적 전기적 기능적 절차적 특성에 대한 규칟
- 물리적 전송메체와 전송 신호방식을 정의하며 RS-232C, x.21등의 표준이 있음
3. 데이터 링크 계층
- 두개의 인접한 개방 시스템들간에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정보전송을 할 수 있도록 한다.
- 송수신간 속도차이를 해결하기 위해 흐름제어 기능.
-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위해 동기화기능
- 오류검출과 회목을 위한 오류제어기능
- 프에임의 순서적 전송을 위한 순서제어기능
- HDLC가 여기임.
4. 네트워크 링크
- 개방시스템들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관리하는 기능과 데이터의 교환및 중계기능을 한다.
-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 유지, 해제하는 기능을 한다.
- 경로설정, 데이터 교환 및 중계, 트레픽 제어, 패킷정보 전송을 수행한다.
- 관련표준으로는 X.25, IP등이 있다.
5. 전송계층
- 논리적 안정과 균일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종단 시스템간에 투명한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 OSI 7계층중 하위 3계층과 상위 3계층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 TCP, UDP등의 표준이 있다.
6. 세션계층
- 세션계층은 송 수신측간의 관련성을 유지하고 대화 제어를 담당하는 기능이다.
- 송수신측간의 대화 동기를 유지하기 위해 체크점을 동기점으로 만들어 일정한 부분에 체크함.
7. 표현계층
- 응용계층으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세션계층에 보내기 전에 통신에 적당한 형태로 변환하고, 세션계층에서 받은 데이터는 응용 계층에 맞게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 코드변환, 암호화, 데이터 압축, 구문검색, 문맥관리등의 기능을 함.
8. 응용계층
- 응용프로그램단.
- 프로세스간의 정보교환, 가상터미널...
'자격증 > 정보처리기사 -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과목, 5과목 집중,. (0) | 2017.08.26 |
---|---|
오답노트 [2013년 1회~ (0) | 2017.08.26 |
[2과목] 2010년 1회~ 2011년2회 오답노트 (0) | 2017.08.25 |
[2과목] 전자계산기 (0) | 2017.08.24 |
[1과목] DB (0) | 2017.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