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정보처리기사 - 정리

[2과목] 2010년 1회~ 2011년2회 오답노트

by Woodland 2017. 8. 25.

[2010 : 1]

1. 다음은 어떤 마이크롷 명령에 의해서 수행되는 경우인가?

MAR <- MBR(addr)

MBR(addr) <- PC

PC <- MAR

M(MAR) <- MBR

PC <- PC+1


답 : 1. BSA명령 : 서브 프로그램으로 분기하고 복귀주소를 저장하는 명령.

2. STA 명령 : 누산기의 값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연산명령

3. ISZ명령 : 메모리 값을 1 증가한 후에 0이면 현재 명령을 skip하는 연산명령

4. ADD명령 : 덧샘


2. 상태도, 상태표 

@ 입력-> 0/0 <- 출력

이동한 후 출력을 보면 된다.


3. 2의 보수 표현이 1의 보수 표현보다 더 널리 사용되고 있는 주요 이유는?

-> 덧샘 연산이 더 간단하다.


4. 사용자 프로그램에 할당된 영역이 EC00h - FFFFh일 경우 사용 가능한 크기는 모두 몇 KByte인가?

-> 5kb 


*: 문제의 영역을 구해보면 FFFF에서 EC00을 빼고 1을 더하면 할당 영역의 값이 나온다.


16진수를 10진수로 변환하자면

맨 오른쪽 (하위비트)부터 왼쪽으로 갈 수록 가산치가 16^0, 16^1, 16^2같이 올라간다.

그래서 10진수로 바꾸려면


FFFF = 15*16^0 + 15*16^1 + ....


5. 대칭적 다중 프로세서(SMP)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O :  1. 능력이 비슷한 프로세서들로 구성됨

2. 모든 프로세서들은 동등한 권한을 가짐

3. 프로세서들이 기억장치와 I/O장치들을 공유함

X : 노드들 간의 통신은 Messag-Passing 방식을 공유함.

-> 노드들간의 통신은 메시지 패싱이 아니라 공유메모리를 이용한다,


6. 중앙처리장치가 주기억장치보다 더 빠르기 때문에 프로그램 실행 속도를 중앙처리장치의 속도에 근접하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기억장치는?

-> 캐시 기억장치.


7. 인터럽트를 발생시키는  모든 장치들을 인터럽트 우선순위에 따라 직렬로 연결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우선순위 인터럽트 처리 방법은 ?

-> 데이지 체인.


8. 캐시 기억장치에서 적중률이 낮아질 수 있는 매핑 방법은?

-> 직접매핑

*: 같은 인덱스를 가졌으나 다른 tag를 가진 두 개 이상의 워드가 반복하여 접근된다면 히트율이 떨어진다.


9. 인터럽트와 트랩을 비교 설명한 것 중 옳지 않은것은?

O :  1. 트랩의 발생 시점은 동일한 입력에 대해서 일정하다.

2. 인터럽트 발생에 대한 처리는 인터럽트 처리기가 담당한다.

3. 인터럽트를 발생시킨 입출력장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폴링과 벡터를 사용한다.

X : 인터럽트의 필요성은 CPU실행과 입출력의 순차적인 실행에 있다.

-> 순차적인 실행이 아니고 불시에 나타나는 실행에 대처하기 위함임.


10. 인스트럭션이 수행 될 때 주기억장치에 접근하려면 인스트럭션에서 사용한 주소는 주기억장치에 직접 적용될 수 있는 기억장소의 주소로 변환되어야 한다. 이때 주소로부터 기억장소로의 변환에 사용되는것은?

-> 사상함수


11. 연산자 기능에 대한 명령어를 나타낸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 전달기능 : CPA, CLC

* 진짜 전달기능은 LOAD, STORE, MOVE ...


12 인스트럭션 수행시 유효 주소를 구하기 위한 메이져 상태는?

-> Indirect 상태


13. 가상 기억장치에 대한 설명이 아닌것은?

1. 주 기억장치를 확장한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2. 실제로는 보조 기억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3. 사용자가 프로그램 크기에 제한받지 않고 실행이 가능하다.


X : 주목적은 컴퓨터의 속도를 향상시기 위한 방법이다.

-> 주목적은 주기억장치의 용량확대를 위한 것이다.


14. 동기 고정식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제어의 특성이 아닌것은?

O :  1. 제어장치의 구현이 간단하다.

2. 여러종류의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수행시 CPU사이클 타임이 실제적인 오퍼레이션 시간보다 길다.

3. 중앙처리장치의 시간 이용이 비효율적이다.

X : 마이크로 오퍼레이션들의 수행 시간의 차이가 큰 경우에 적합한 제어이다.

-> 동기 고정식에서는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의 수행시간을 같다고 보고 CPU클럭의 주기를 Micro 사이클 타임과 같게 정의.




---------------------------------------------------------------------------------------


[2010 : 2]


1. 채널은 연결 형태에 따라 고정채널과 가변채널로 구분하고, 정보의 취급 방법에 따라 멀티플렉서 모드와 버스트 모드로 구분하여 입충력 장치의 성질에 따라 셀렉터 채널바이트 멀티플렉서 채널, 블록 멀티플렉서 채널로 구분한다. 이러한 채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것은?


-> 블록 멀티플렉서 채널은 하나의 데이터 경로를 경유한다는 점과 고속의 입출력 장치를 취급한다는 점에서 바이트 멀티 플렉서 채널과 셀렉터 채널을 결합한 형태의 채널이다.


채널의 종류와 특징

1. 선택채널 : 제어기의 입장에서 한 입출력장치의 독점인 것처럼 운용, 자기디스크, 자기테이프, 자기드럼과같은 고속입출력 장치의 입출력에 이용.

2. 다중채널 : 동시에 다수의 입출력장치를 운영제어, 프린터나 카드리더같은 저속 입출력 장치의 입출력에 이용.

3. 블록 다중채널 : 다중채널과 같이 동시에 다수의 입출력장치를 운영제어하나 자기디스크, 자기테잎, 자기드럼과 같은 고속 입출력 장치의 입출력에 이용.


2. 사이클 훔침에 관한 설명 중 틀린것은?

O :  1. DMA의 우선순위는 메모리 참조의 경우 중앙처리장치보다  상대적으로 높다.

2. DMA가 중앙처리장지의 메모리 사이클을 훔치는 현상이다.

3. 중앙처리장치는 메모리 참조가 필요없는 오퍼레이션을 계속 수행한다.


X : 중앙처리장치는 메모리 참조가 필요한 오퍼레이션을 계속 수행한다.


3. 다음 기억공간 관리 중 고정 분할 할당과 동적 분할 할당으로 나누어 관리되는 기법은?

-> 연속 로딩 기법


4. RAID-5는 RAID-4의 어떤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는가?

-> 패리티 디스크의 액세스 집중


5. Interleaved memory에 대한 설명과 관계가 없는것은?

O :  1.중앙 처리장치의 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2. 단위시간당 수행할 수 있는 명령어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3. 이 기억장치를 구성하는 모듈의 수 만큼 단어들에 동시 접근이 가능하다.


X : 데이터의 저장공간을 확장하기 위한 방법이다.

-> CPU와 기억장치 간 실질적인 대역폭을 늘리기 위한 방법이다.


6. 백터 처리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알고리즘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 systolic 알고리즘


7. 데이터의 주소를 표현하는 방식에 따라 분류할 때 계산에 의한 주소는 어디에 해당하는가?

-> 약식주소


8. 자음은 정규화된 부동소수점 방식으로 표현된 두 수의 덧셈 과정이다. 다음 중 그 순서가 바르게 나열된 것은?

-> 지수의 비교 ㅡ 가수의 정렬 ㅡ 가수의 덧셈 ㅡ 정규화


9. 밀결합 시스템에서는 프로세서들 간의 통신이 주로 무엇을 통해 이루어지는가?

-> 공유 기억장치


10. 병렬 컴퓨터 구조를 설명한 내용으로 가장 옳지 않은것은?

O :  1. 병렬 처리 기법을 구현한 컴퓨터 구조를 갖는다.

2. 벡터 컴퓨터는 병렬 컴퓨터에 속한다.

3. 파이프라인 처리 방식을 사용한다.

X : 다중 프로그래밍 기법을 사용한다.

-> 다중 프로세싱 기법을 사용한다.


11.  Flynn의 컴퓨터구조 분류 방식 중 일반적으로 배열처리기 구조라고도 하며, 여러 개의 처리기가 한 개의 제어 처리기에 의해 제어되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은?

-> SIMD

* SISD = 한개의 명령어로 한개의 데이터 처리

 SIMD = 한개의 명령어로 여러개의 데이터 처리

 MISD = 여러개의 명령 처리기가 한개의 데이터 처리 - 실제 사용 안함.

 MIMD = 여러개의 명령 처리기가 다수의  데이터 처리


-----------------------------------------------------------------------------------------------------------------------------------------

[2010년 3회]


1. 자기테이프등과 같은 대 용량의 보조 기억장치의 내용을 직접 접근이 가능한 영역으로 이동하여 컴퓨터 시스템에서 자료를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무엇이라 하는가?

-> Staging


2. 간접 사이클 동안에는 어떤 동작이 수행되는가?

-> 기억 장치로부터 데이터의 주소를 인출한다.


3. 배열 처리기를 가진 컴퓨터에서 프로그램이 수행되는 곳은?

-> 제어 처리기


4. 기억 소자중 사용자가 읽기/쓰기를 임의로 할 수 없는 것은?

-> ROM


5. 디스크 배열을 구성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아닌것은?

O :  1. 여러 블록들을 동시에 액세스 할 수 있다.

2. 저장 용량이 증가된다.

3. 디스크 전송률이 높아진다.

X : 신뢰도가 높아진다

-> 디스크를 배열화 함으로 파일의 내용이 여러곳으로 분산되어 접근성, 용량, 전송률은 좋아지는 장점이 있지만, 문제 발생의 경우 그 영향이 부분적이 아닌 전체에 끼텨 신뢰성 면에서는 단점으로 작용함.


6. 일반적인 컴퓨터의 CPU 구조 가운데 수식을 계산할 때 수식을 미리 처리되는 순서인 역 polish형식으로 바꾸어야 하는 CPU구조는?

-> stack 구조 


7. 한 명령의 실행 사이클중에 인터럽트 요청을 받아 인터럽트를 처리한 후 실행되는 사이클은?

-> Fetch Cycle


8. 중앙처리장치가 인출 상대인 경우에 제어점을 제어하는 것은?

-> 명령어


9.  서로다른 19개의 정보가 있을 경우, 이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려면 최소 몇개의 비트가 필요한가?

-> 5비트

#: 19개의 정보는 0부터 18까지의 정보로, 2진수로 표현하려면 10010이다. 그래서 총 5자리인 5비트가 필요함.


-----------------------------------------------------------------------------------------------------------------------------------------------------------

[2011 : 1]


1. 회로의 논리함수가 다수결 함수를 포함하고 있는것은?

-> 전가산기


2. 메가 플롭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것은?

-> 1초간에 실행되는 부동소수점 연산의 수를 100만을 단위로 하여 다타낸 수.


3. 우선순위 인터럽트 운영방식이 아닌것은?

O :  1. LCFS(후입선출)

2. FCFS(선입선출)

3. Masking schema

X : Fixed Service


4. 비교적 속도가 빠른 자기 디스크에  연결하는 채널은? 

-> 셀렉터 채널 


5. 컴퓨터 주기억장치의 용량이 256MB라면 주소 버스는 최소한 몇 BIT여야 하는가?

-> 1M = 2^ 20

256M = 2^8 + 2^20

따라서 최소한의 주소버스는 8+20dls 28비트여야함.


6. 다음은 명령어 형식에 대한 설명이다. 옳은것은?

-> 기억장치의 주소나 레지스터를 지정하거나 실제 데이터 값을 가지고 있는 부분이 오퍼랜드이다.


7. 다음 중 잘못 연결한 것은?

O :  1. Associative Memory = Memory Access 속도 향상

2. Virtual Memory = Memory 공간 확대

3. Cache Memory = Memory Access 속도 향상

X : Memory Interleaving = 메모리 공간 확대

-> CPU 와 Memory 간 대역폭 향상


8. 컴퓨터 시스템과 주변 장치간의 데이터 전송 방식에 해당되지 않는것은?

O :  1. DMA(Direct Memory Access) 방식

2. 인터럽트 입출력

3. 프로그램 입출력

X :  루프 입출력

 

---------------------------------------------------------------------------------------------------------------------------------------------------------

[2011 : 2]


1. 다음 중 IEEE754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것은?

-> 가수는 부호 비트와 함께 부호화-크기로 표현된다.


2. 하드웨어 신호에 의하여 특정 번지의 서브루틴을 수행하는 것은?

-> Vectored interrupt


3. 디코더로 전가산기 회로를 설계하고자 한다. 설계에 필요한 IC는?

-> 3X8 디코더 1개, 4입력 OR 게이트 2개


4. flynn의 분류법 중 여러개의 처리기에서 수행되는 인스트럭션들은 각기 다르나 전체적으로 하나의 데이터 스트림을 가지는 형태는?

-> MISD


5. 컴퓨더의 제어장치에 일반적으로 포함되지 않는 것은?

O :  1. 해독기

2. 순서기

3. 주소 처리기

X : 주기억장치


6. CPU가 어떤 명령과 다음 명령을 수행하는 사이를 이용하여 하나의 데이터 워드를 직접 전송하는 DMA방식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cycle stealing


7.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로 틀린것은?

O :  1. 속도의 차이

2. 전압레벨의 차이

3. 전송 사이클 길이의 차이

X :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의  차이

->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은 명령의 차이임.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주기억장치나 CPU의 레지스터와 외부의 입출력간 정보 전달을 원활하게 해주기 위해서 사용하게 됨


8.  입출력 제어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O :  1. 프로세서에 의한 입출력 제어 방식으로 크게 동기제어방식과 비동기 제어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2. 인터럽트 제어방식은 프로세서에 의한 제어방식으로 비동기 제어방식이다.

3. 전용장치에 의한 제어방식으로 DMA방식과 Channel 방식이 있다.

X : 프로그램 제어 방식은 전용장치 제어방식으로 동기방식과 플래그 검사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9. 모든 하드디스크 제조사들은 IDEMA를 통해 기존 512바이트 섹터 표준을 어떻게 변경하여야 하는가?

-> 4k 섹터 표준으로 변경.





메모장 @@@@@@@@@@@@@@@@@@@@@@@@@@@@@@@@@@@@@@@@@




~~~~~~~~~~~~~~~~~~~~~~~~~~~~~~~~~~~


동기 가변식 :

- 수행 시간이 비슷한 것을 그룹화 해서 그룹별로 서로 다른 Micro Cycle Time을 적용

-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사이클 타임이 현저한 차이가 있을경우 사용

- CPU의 효윻적인 사용이 가능, 동기고정식에 비해 제어기 복잡

-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에 대해 서로 다른 사이클 정의 가능.


동기 고정식 : 

-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의 수행시간을 같다고 보고 CPU  클럭의 주기를  Micro Cycle Time과 같게 정의.

- 모든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의 수행시간이 유사한 경우 사용

- CPU의 시간적인 낭비로 효율이 낮고, 제어기의 구현이 쉬움

- 수행시간이 가장 긴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의 시간을 마이크로 사이클 타임으로 적용.





'자격증 > 정보처리기사 -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5과목 중요 요점정리.  (0) 2017.08.26
2과목, 5과목 집중,.  (0) 2017.08.26
오답노트 [2013년 1회~  (0) 2017.08.26
[2과목] 전자계산기  (0) 2017.08.24
[1과목] DB  (0) 2017.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