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의 개수
문제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져 있는 섬과 바다 지도가 주어진다. 섬의 개수를 세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한 정사각형과 가로, 세로 또는 대각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사각형은 걸어갈 수 있는 사각형이다.
두 정사각형이 같은 섬에 있으려면, 한 정사각형에서 다른 정사각형으로 걸어서 갈 수 있는 경로가 있어야 한다. 지도는 바다로 둘러쌓여 있으며, 지도 밖으로 나갈 수 없다.
입력
입력은 여러 개의 테스트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다. 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째 줄에는 지도의 너비 w와 높이 h가 주어진다. w와 h는 50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이다.
둘째 줄부터 h개 줄에는 지도가 주어진다. 1은 땅, 0은 바다이다.
입력의 마지막 줄에는 0이 두 개 주어진다.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서, 섬의 개수를 출력한다.
-------------------------------------------------------------------------------
해결법 : DFS를 이용해서 그래프를 통해 갯수를 산출해야 한다.
그래프에서 연결 된 요소를 찾아서 탐색을 진행해야하는데, 여기서 각 방향으로 이동하는 좌표를 미리 가지고 있어야 DFS가 가능하다.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static class DFS { int map [][] = new int [50][50]; // 지도의 넓이와 높이는 각 50을 넘지 않는다. int visitList[][] = new int [50][50]; // 따라서 지도의 방문기록또한 지도와 크기가 같다. int directionX[] = {-1,-1, 0, 1, 1, 1, 0,-1}; // 2중배열 지도상의 방향을 저장하는 배열이다. int directionY[] = { 0, 1, 1, 1, 0,-1,-1,-1}; // X와Y좌표가 한쌍을 이룬다. /* 실제 방향정보는 다음과 같다. * * -1,-1 | -1, 0 | -1, 1 * --------------------------- * 0,-1 | X, Y | 0, 1 * --------------------------- * 1,-1 | 1, 0 | 1, 1 * * */ int width; // 입력 받을 지도의 실제 크기. int height; DFS() {} // 이너 클래스의 생성자. void dFirstSearch(int x, int y) { // 리컬시브 룰을 이용해서 풀어낼 메서드를 만든다. int nextX; // 다음 좌표의 X값을 담을 변수. int nextY; // 다음 좌표의 Y값을 담을 변수. visitList[x][y] = 1; // X,Y값이 전달되면 그 값은 이미 방문한 곳이므로 1로 바꾸어 준다. for(int i =0; i < 8 ;i++) { // 중요한 KEY 알고리즘이다. 재귀적 용법을 사용한다. nextX = x+directionX[i]; nextY = y+directionY[i]; if( nextX >= height || nextX <0 || nextY >= width || nextY < 0) { continue; } // Base case이다. if(visitList[nextX][nextY] == 0 && map[nextX][nextY]==1) { dFirstSearch(nextX,nextY); // 조건에 부합한다면 search를 재귀함수로 불러낸다. } } } void setWidth( int input) { this.width = input; } void setHeight( int input) { this.height = input;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 = new Scanner(System.in); DFS dfs = new DFS(); int count = 0; while(true){ int width = s.nextInt(); int height = s.nextInt(); if(width == 0 && height == 0) { return; } dfs.setWidth (width); dfs.setHeight(height); count = 0; for (int i = 0; i < 50; i++) { for (int j = 0; j < 50; j++) { dfs.visitList[i][j] = 0; } } for(int i=0; i < height ; i++) { for(int j = 0; j < width ; j++) { dfs.map[i][j] = s.nextInt(); } } for(int i=0; i < height ; i++) { for(int j = 0; j < width ; j++) { if(dfs.visitList[i][j]==0 && dfs.map[i][j]==1) { dfs.dFirstSearch( i, j); count++; } } } System.out.println(count); } } }
'Program >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954번 창영이의 일기장 (0) | 2018.11.12 |
---|---|
2530번 인공지능 시계 (0) | 2018.11.11 |
[백준 알고리즘] 10828번 스택 문제풀이와 설명 (0) | 2018.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