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QLD 준비

SQL 기본

by Woodland 2017. 11. 18.

1.  다음 중 데이터 제어어(DCL)에 해당하는 명령어는?

1. INTERSECT

2. RENAME

3. COMMIT

4. REVOKE


2. 다음중 아래 내용의 범주에 해당하는 SQL명령어로 옳지 않은것은?

- 테이블의 구조를 생성, 변경, 삭제하는 등 데이터 구조를 정의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어이다.

1. create

2. grant

3. alter

4. drop


3. 아래 내용에 해당하는 SQL명령어의 종류를 작성하시오

- 논리적인 작업의 단위를 묶어 DML에 의해 조작된 결과를 작업단위(Transaction)별로 제어하는 명령어인 Commit, Rollback, Savepoint등이 여기에 해당하며 일부에서는 DCL로 분류되기도 한다.


4. 데이터 베이스를 정의하고 접근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과의 통신수단이 필요한데, 이를데이터 언어(Data Language)라고 하며, 그 기능과 사용 목적에 따라 데이터 정의어, 데이터 조작어 데이터 제어어로 구분한다, 다음 중 데이터 언어와 SQL명령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부적절한것은?

1. 비절차적 데이터 조작어는 사용자가 무슨 데이터를 원하며 어떻게 그것을 접근해야 되는지를 명세하는 언어이다.

2. DML은 데이터베이스 사용자가 응용프로그램이나 질의어를 통하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실질적으로 접근하는데 사용되며 SELECT, INSERT, DELETE, UPDATE등이 있다.

3. DDL은 스키마, 도메인, 테이블, 뷰, 인덱스를 정의하거나 변경 또는 제거할 때 사용되며 CREATE, ALTER, DROP, RENAME등이 있다.

4. 호스트 프로그램 속에 삽입되어 사용되는 DML명령어들을 데이터 부속어(Data Sub Language)라고 한다.


5. 다음 중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언어의 종류와 해당되는 명령어를 바르게 연결한 것을 2개 고르시오.

1. DML - SELECT

2. TCL - COMMIT

3. DCL - DROP

4. DML - ALTER


6. 다음 중 아래 데이터 모델과 같은 테이블 및 PK 제약조건을 생성하는 DDL문장으로 올바른것은?

---


7. ---


8. 다음 중 NULL의 설명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

1. 모르는 값을 의미한다.

2. 값의 부재를 의미한다.

3. 공백문자 혹은 숫자 0을 의미한다.

4. NULL과 모든 비교(IS NULL)는 알수없음을 반환한다.


9. 아래 테이블 T, S, R이 각각 다음과 같이 선언되었다. 다음 중 DELETE FROM T;를 수행한 후에 테이블 R에 남아있는 데이터로 가장 적절한 것은?


-보기.


CREATE TABLE T (

C INTEGER PRIMARY KEY,

D INTEGER 

);


CREATE TABLE S (

B INTEGER PRIMARY KEY,

C INTEGER REFERENCES T(C) ON DELETE CASCADE

);


CREATE TABLES R (

A INTEGER PRIMARY KEY,

B INTEGER REFERENCES S(B) ON DELETE SET NULL

);


테이블의 상태는 다음과 같다.

T:                    S:                R:

C  D            B  C            A  B

1  1             1  1            1   1

2  1             2  1            2   2


답 :


10. 다음 중 테이블 생성시 칼럼별 생성할 수 있는 제약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

1. UNIQUE: 테이블 내에서 중복되는 값이 없으며 NULL 입력이 불가능 하다.

2. PK: 주키로 테이블당 1개만 생성이 가능하다.

3. FK: 외래키로 테이블당 여러 개 생성이 가능하다.

4. NOT NULL : 명시적으로 NULL 입력을 방지한다.

 

-----------------------

1~10 답

1. 4 / 2. 2/ 3. TCL / 4. 

------------------------

1~10 해설

1.     DML : insert, update, deleteㅁ

DDL : create, alter, drop, rename

DCL : grant, revoke

TCL : commit, rollback


4. TCL (Transaction controll)



81. SET OPERATOR 중에서 수학의 교집합과 같은 기능을 하는 연산자로 가장 적절한것은?

1. UNION

2. INTERSECT

3. MINUS

4. EXCEPT


82. 다음 SQL문이 원하는 바는?

1.     SELECT ENAME AAA, JOB AAB

FROM EMP

WHERE EMPNO = 7369

UNION ALL

SELECT ENAME BBA, JOB BBB

FROM EMP

WHERE EMPNO = 7566

[ORDER BY 1, 2]; <- 이거 모임?


->    AAA라고 하는 ENAME 컬럼과 AAB라고 하는 JOB컬럼을 뽑아와라.

EMP테이블에서

EMPNO 가 7369 인것만.

거기에 이하를 다 합쳐라 

BBA라고 하는 ENAME 컬럼과 AAB라고 하는 JOB컬럼을 뽑아와라

EMP라는 테이블에서

EMPNO 가 7566 인것만

순서는 1,2 (내림차순)


83. ??


84.  UNION ALL과 UNION의 차이

@ UNION ALL은 중복 제거하지 않아, 합집합한 그대로의 값을 보여주지만

    일반 UNION의 경우는 합집합 후의 중복제거를 해 준다. UNION DISTINCT와 같은 역할임.


85. 다음 중 아래와 같은 집합이 존재 할 때, 집합 A와 B에 대하여  집합 연산을 수행한 결과 집합 c가 되는 경우 이용되는 데이터베이스 집합 연산은?


1. 집합 a = {가, 나, 다, 라}

2. 집합 b = {다, 라, 마, 바}

3. 집합 c = {다,라}


보기

1. UNION

2. DIFFERENCE

3. INTERSECTION

4. PRODUCT


86. 아래와 같은 데이터 모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것은?

회원기본정보                            회원 상세정보

------------                            ----------------

회원 ID          |--|-------------|회원ID(FK)


1. 회원 ID컬럼을 대상으로(회원기본정보 EXCEPT 회원 상세정보)연산을 수행하면 회원 상세정보가 등록되지 않은 회원 ID가 추출된다.)

2. 회원 ID컬럼을 대상으로 (회원기본정보 UNION ALL 회원상세정보) 연산을 수행한 결과의 건수는 회원기본정보의 전체건수와 동일하다.

3. 회원 ID컬럼을 대상으로 (회원기본정보 INTERSECT 회원상세정보)연산을 수행한 결과의 건수와 두 테이블을 회원 ID로 JOIN연산을 수행한 결과의 건수는 동일하다.

4. 회원 ID컬럼을 대상으로 (회원기본정보 INTERSECT 회원상세정보) 연산을 수행한결과와 (회원기본정보 UNION 회원상세정보 ) 연산을 수행한 결과는 다르다.


87. 

-----------------------------------

81. 2 / 85. 3 / 86. 3/

---------------------

'SQLD 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모델링 이해3  (0) 2017.11.21
데이터 모델링 이해2  (0) 2017.11.21
데이터 모델링 이해  (0) 2017.11.21